<p></p><br /><br />3.1 만세 운동 직후 일제는 제암리 학살 사건을 저질렀지요. <br><br>50년 전 일본 내 양심 세력이 사죄 위원회를 만들고, 보상을 위한 모금활동까지 했었습니다. <br><br>그 기록을 채널A가 단독으로 입수했습니다. <br> <br>도쿄에서 김범석 특파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[현장음] <br>"3·1 운동 때 제암리에서 순국한 선열들의 위령제가 엄수됐습니다." <br> <br>교회에서 무고한 주민 23명이 일본군에 의해 잔인하게 학살된 제암리 사건,<br> <br>자국 정부의 반인도적 범죄에 대해, 일본 내 양심 세력 15명은 한일 국교 수립 2년 뒤인 1967년 사죄 위원회를 결성했습니다. <br><br>"36년 간 일본의 식민 통치. 온갖 비도덕한 행위가 있었다. 많은 일본인이 참여해야 (사죄의) 의미가 있다" <br><br>미군에 의한 원폭 투하보다 일본군이 벌인 제암리 학살이 더 잔인했다고, 자신들이 발간한 신문에 쓰기도 했습니다. <br><br>"히로시마, 나가사키보다 더 잔인한 범죄를 잊으려 한다." <br><br>당시 위원들이 작성한 회의록에는 보상을 위한 모금 현황, 언론 홍보 방식 등이 자세히 적혀 있었습니다. <br> <br>[하라다 교코 / 고려박물관 이사] <br> "3·1운동은 한국의 가장 중요하고 긍지 넘치는 민족운동입니다. (모금 운동 등) 일본인의 마음을 알아준 한국인이 있었다는 것이 가장 기쁩니다." <br> <br>독립기념관에 아카이브 형태로 보관됐던 자료가 일반인에게 전시되는 것은 처음으로, <br> <br>특히 3·1운동 100주년을 맞아 일본 시민 8명이 자비로 전시를 준비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[아오야기 준이치 / 자원봉사자] <br> "정부 차원의 (한일 관계가) 상당히 어려워졌지만 이럴 때일수록 (3·1운동의 역사를) 배우면서 다른 일본인에게 제대로 전하고 싶어요." <br> <br>도쿄에서 채널A 뉴스 김범석입니다. <br>bsism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: 박용준 <br>영상편집: 민병석 <br>그래픽: 김종운